깃허브를 사용하다 보면, 경우에 따라 기존에 만든 리포지토리(repository)를 공개(public) 혹은 비공개(private)로 변경해야 할 때가 생깁니다. 지금부터 리포지토리의 공개 여부와 관련된 세팅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먼저, 깃허브에 접속해 로그인을 한 뒤, 설정을 바꾸고자 하는 리포지토리로 이동합니다. 리포지토리 상단에는 Code, Issues, Pull requests, Actions, Projects, Security, Insights, Settings의 메뉴가 존재합니다. 여기서 제일 마지막에 위치한 Settings를 클릭해줍니다.
Settings 페이지로 이동한 뒤, 페이지를 맨 밑에까지 스크롤해서 내리면, 붉은색 테두리에 붉은색 버튼들로 이루어진 Danger Zone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. 여기서 첫 번째 메뉴인 Change repository visibility (This repository is currently public 혹은 private)를 변경하기 위해 우측에 위치한 Change visibility를 선택합니다.
해당 리포지토리를 공개할지, 혹은 비공개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뜹니다. 본인이 원하는 설정으로 변경해준 뒤, 변경된 설정값을 저장하기 위해선, 하단에 위치한 빈 공간에 본인의 깃허브 아이디와 리포지토리 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. 예를 들어, yourGitHubID/yourRepository 와 같이 입력해주시면 바뀐 리포지토리의 공개/비공개 설정이 저장됩니다.